<table>
<thead>
<tr> <!-- React에선 <th>를 <tr>로 한번 감싸야 에러 안남 -->
<th>구분</th>
<th>이름</th>
<th>가격</th>
</tr>
</thead>
<tbody>
<tr> <!-- 1행 -->
<td>건강식품</td>
<td>오메가3</td>
<td>50000원</td>
<tr>
<tr> <!-- 2행 -->
<td>의류</td>
<td>샌들</td>
<td>20000원</td>
<tr>
<tr> <!-- 3행 -->
<td>간식</td>
<td>오예스</td>
<td>8000원</td>
<tr>
</tbody>
</table>

<table> 사용<th> 사용<tr> 사용<td> 사용HTML5부터 행 그룹을 묶는 <thead> <tbody> <tfoot> 태그가 추가됨. 각 영역들을 그룹으로 묶기 때문에 CSS 적용하기 편한 장점이 있음.

이미지 출처 : 오쌤의 니가스터디
<thead> 테이블의 헤더 <th>를 묶는 그룹 태그<tbody> 테이블의 콘텐츠 <tr> <td>를 묶는 그룹 태그<tfoot> 테이블의 마지막 부분 묶는 그룹 태그HTML5부터 align bgcolor border cellpadding cellspacing frame rules summary width 속성을 더 이상 지원하지 않으므로 CSS 속성을 사용해야 한다.
<table border="1">
<!-- 생략 -->
</table>
| 속성명 | 속성값 | 설명 | HTML5 지원 |
|---|---|---|---|
| align | left center right |
테이블의 가로 정렬 | ❌ |
| bgcolor | RGB HEX 색상명 |
테이블의 배경색 | ❌ |
| border | 1 0 |
선(line) 유무 | ❌ |
| cellpadding | 픽셀 | 셀(td)의 내부 여백 | ❌ |
| cellspacing | 픽셀 | 셀(td) 사이의 여백 | ❌ |
| width | 픽셀 혹은 % |
테이블 가로 너비 | ❌ |
| frame | void above below hsides lhs rhs등 |
바깥 테두리 | ❌ |
| rules | none groups rows cols all |
안쪽 테두리 | ❌ |
| summary | 텍스트 | 테이블 콘텐츠의 개요 | ❌ |
하나의 데이터 셀을 정의할 때 사용하는 태그. 폰트 두께 400(일반), 좌측 정렬이 기본값.
| 속성명 | 속성값 | 설명 | HTML5 지원 |
|---|---|---|---|
| align | left right center justify char |
셀 내용 수평 정렬 | ❌ |
| valign | top middle bottom baseline |
셀 내용 수직 정렬 | ❌ |
| bgcolor | RGB HEX 색상명 |
셀의 배경색 | ❌ |
| colspan | 숫자 | 병합할 열 개수 | ✅ |
| rowspan | 숫자 | 병합할 행 개수 | ✅ |
| nowrap | nowrap |
셀 콘텐츠의 줄바꿈 방지 | ❌ |
| width | 픽셀 혹은 % |
셀의 가로 너비 | ❌ |
| height | 픽셀 혹은 % |
셀의 세로 너비 | ❌ |
| abbr | 텍스트 | 셀 콘텐츠의 짧은 설명 | ❌ |
| axis | 카테고리명 | 셀이 포함될 카테고리 | ❌ |
| headers | header id | 셀과 연관된 헤더 id | ✅ |